본문 바로가기

디자인

<3월 25일> 디자인 매니지먼트 - 디자인 투자의 특성과 효과


디자인 투자란
디자인을 기업 경영에 활용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객관적인 척도

대기업만이???, 돈이 많아야?? 중소기업이야 말로 작은 자본으로 디자인에 투자를 하여 마찬가지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기회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. 
(220배의 매출을 올린 사례가 있음 - 2007국내사례)
(투자대비 매출이 4배 증가한다는 통계, 마켓쉐어는 6.3%늘어난다 - 영국)

- 브랜딩이나 광고보다 디자인투자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. -

그러나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의 실태
- 총 매출액의 1%만이 디자인에 투자를 함
- 선입견 "디자인에 대한 투자는 지출되는 비용?"
- 이익창출의 통계에서는 디자인 비용을 빼버림

장기적으로는 디자인이야 말로 이익의 원천


디자인투자
기업환경개선(인테리어, 건축), 서베이비용, 인건비, 생산라인 공정개선비(리디자인), 자문비, 기업로고 구축,

전략적인 역할
- 상품 차별화
- 혁신적인 컨셉 제안
- 기존의 상품 리쥬얼
- 기업 이미지 수립
- 사내 혁신 고취

기술적인 역할
- 아이디어 가시화
- 사용자 이해 향상
- 마케팅 지원과 협력
- 제품개발 체계화
- 비용절감




<디자인 투자의 유형효과>

현금유입의 증대 (수입증대, 비용절감, 소요자본 절감)
현금유입 가속화 (시장반응성 제고, 시장인도시간 단축)
현금유입의 변동성 축소 (고객충성도 제고, 고객의 전환비용상승)

수입증대
- 제품(서비스)에 대해 더 높은 프리미엄 창출
- 기존 시장에서 매출증대
- 기존 제품(서비스)에 대한 신시장 창출

비용절감
- 생산 비용 절감
- 기타 비용 절감 (판매나 지원 활동 관련 비용등)

소요자본 절감
- 새로운 공급 사슬 형성이나 생산활동 통합
- 소요자본 절감(자본비용절감)

현금유입가속화
시장반응제고
- 효과적인 브랜드나 기업 가치 이해 구축
- 신제품(서비스)에 대한 시장 수용 촉진

시장인도시간 단축
- 신제품의 시장 인도 시간 단축

현금유입의 변동성 축소
고객충성도제고
-고객만족도 제고
-고객 유지 및 반복 구매를 증대

고객의 전환 비용 상승
-고객의 지속, 반복 구매 케머니즘 창출




<디자인 투자의 무형효과>

시스템과 프로세스 개선
- 작업환경, 작업 프로세스 개선
- 조직 구성원의 계획이나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제고

기업내 공통의 가치와 혁신 문화 창출
- 조직 구성원의 가치, 고객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
- 조직 구성원의 기업 가치 식별과 개발강화
- 기업 가치가 기업의 모든 가치 사슬에서 명확히 표현
- 혁신 프로세스에 디자인 프로세스 활용

전략적 비전형성
- 기업 경영에서의 장기적인 관점 장려
- 전략적 의사 결정에 기여 (미래 사업 기회의 가시화)

새로운 조직관계 구축
- 부서간 또는 부서 내 수평 수직적 장벽 타파 (다양한 분야의 공동작업 촉진)
- 외부 이해 당사자들과의 의사소통 프로레스 개선

지식경영 기반 구축 (지식과 지식 재산권 창출)
- 디자인 활동의 체계적인 기록을 통해 기업의 지식 기반 강화
- 새로운 지식 재산권 창출( 특허, 디자인 권리, 상표, 브랜드등)




<디자인 투자 효과 식별틀>






   내적 외적





 유형  
유형-내적
작업환경 개선에 따른 결근감소

유형-외적
신제품 판매에 따른 현금 유입증대





 내적  
무형-내적
기업문화 개선
(미래 프로젝트에 활용 가능한 구성원들의 브래인스토밍 능력, 학습능력, 스킬 축적)

무형-외적
기업 브랜드가치이해 제고
(기업 브랜드 가치의 명확화 고객의 반복구매 촉진)

<디자인 투자의 주요효과(예)>
Balanced Scorecard Method (균형점수법)
프로세스 효과(시간절약, 품질향상, 비용절감) ▶고객효과(고객만족도 향상, 고객 구입과 존속증대) ▶재무적효과(매출증대, 이익율 증대, 투자수익율증대, 주가상승)

<영국기업의 RODI측정비중)
(Return on Design Investment) 디자인투자의 순이익에 대한 기여 정도를 측정하는 개념
수익에서 세금을 빼면 순이익

영국에서는 평균 13% 측정